top of page
스크린샷 2024-05-12 195842.png
다운로드 (1).jpg

소안도

​독립운동가만 89명. 소안도의 항일운동

 일제시대 소안도는 함경도의 북청, 부산의 동래와 더불어 독립운동이 가장 강성했던 곳 중 하나였다.
 

 1920년대에는 6천여 명의 주민 중 800명 이상이 일제의 감시와 통제를 받았다.

787482_image2_1.jpg

소안도 
Story

 소안도는 아름다운 저항 정신이 깃든 섬이다. 1년 내내 자랑스러운 태극기가 휘날리는 것도 소안도의 자랑이다.

 

 소안도에 가려면 완도 화흥포여객선터미널에서 소안항까지 하루 10∼12회 운항하는 여객선을 이용해야 한다. 차량을 실을 수 있는 여객선 3척이 운항하는데, 소안도의 항일 정신을 기리려는 듯 이름이 대한호, 민국호, 만세호다. 선착장에 내리면 가장 먼저 ‘항일의 땅, 해방의 섬 소안도’ 푯돌을 만난다. 

 소안도에서는 평화적 시위와 무력 항쟁, 교육 운동, 비밀결사와 법정투쟁, 섬 주민의 자발적인 학교 설립 등 일제강점기 내내 다양한 항일운동이 전개됐다. 당사도등대 습격 사건을 비롯해 ‘전면 토지소유권 반환 청구 소송’, 사립소안학교 설립 등이 대표적이다.

 

 완도 본섬에서 한참 떨어진데다 인구가 6000여 명밖에 안 되는 섬에서 건국훈장을 받은 독립 유공자가 20명, 기록에 남은 독립운동가가 89명에 달하는 항일운동의 성지였다. 

787412_image2_1.jpg
3a7f2b47-dc2c-48a7-99bf-e9ed9be0972e.jpg

 당사도등대 습격 사건은 소안도 항일운동의 시작점이다. 1909년 일본은 본국을 향해 먼 바다로 나가는 상선을 돕기 위해 당사도에 등대를 세웠다.

 

 소안도 출신 동학군 이준화를 비롯한 5명은 일본 선박의 남해 항로를 방해하기 위해 거친 해안 절벽을 기어올라 일본인 등대원 4명을 죽이고, 등대를 파괴했다. 당사도등대가 생긴 지 불과 2개월 만이다. 당시 불빛을 밝히던 등명기를 파괴하려 했지만, 너무 단단해 바다에 빠뜨렸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등대 주변에는 당사도등대 습격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항일전적비와 광복 후 파괴된 등대원추모비 일부가 남아 있다. 

  소안도 주민이 자발적으로 모금 활동을 벌여 1만 원이 넘는 돈을 모금했다. 이돈으로 사립 학교를 세웠다.

 

 당시 소 한 마리 값이 70원인 점을 생각하면 꽤 큰 액수다. 사립소안학교에서 ‘사립’을 강조하는 이유는 마을 주민이 스스로 세웠다는 자부심 때문이다.

 

 사립소안학교에는 일장기가 없었고, 민족의식을 일깨우며 항일 정신을 가르쳤다. 노화도를 비롯한 주변 섬뿐 아니라 해남과 제주에서도 학생들이 찾아와 성황을 이루었다. 

29e8ca72-a579-4b08-938e-e0b27176252c.JPG
다운로드 (1).jpg

 하지만 사립소안학교는 일제에 ‘항일운동의 배후’로 지목돼 1927년 강제 폐교된다.

 

 소안도 주민은 격렬히 항거했고, 학교를 다시 열기 위해 탄원서를 돌리기도 했다. 이 일로 소안도 주민 6000여 명 가운데 800명이  일제의 감시와 통제를 받으며 고초를 겪었다.

 

 이후에도 주민들은 수의위친계, 배달청년회 등 항일 비밀결사를 만들어 조직적인 저항운동을 벌였다. 감옥으로 끌려간 이웃을 생각하며 한겨울에도 이불을 덮지 않고 잤다는 일화는 널리 알려졌다.

 소안도 항일운동의 중심에는 송내호 선생이 있다. 사립소안학교의 전신인 사립중화학원을 설립해 교육에 힘썼고, 이후 사립소안학교를 세우는 데 앞장섰다.

 1919년 경성(서울)에서 3·1운동이 일어나고 불과 2주 뒤, 완도에서 만세 운동을 주도하기도 했다. 비밀결사 수의위친계를 조직했으며 배달청년회, 소안노농대성회 등에 참여해 항일운동에 앞장섰다. 

74d94445-916f-449f-9208-94a0433fca84.JPG
Screenshot_20220225-085031_NAVER.jpg
White Structure

​Quiz.독립운동자금을 획득하라. 

소안도 주민이 자발적으로 모금한 독립운동자금은 얼마인가요?

돈
009_edited.png

1만원

돈
010.png

5만원

돈
010.png

10만원

bottom of page